기억하라! 투쟁하라!
올해부터 4월 28일은
국가기념일인
산재 노동자의 날
입니다
1993년 태국의 심슨 인형 공장에 불이 나
노동자 188명이 죽었습니다.
노동자들이 인형을 훔쳐 갈까봐
공장 문을 걸어 잠궜기 때문입니다.
이들을 추모하며 여러 나라에서
산재 노동자의 날을 지정한 이래 30년 만입니다.
하지만 매해 2,400명이 일터에서 죽는
산재공화국, 대한민국.
죽은 자를 추모하고 산 자를 위해 투쟁하는
4.28을 만들어갑시다.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할 권리
4.28 선언
21대 대통령 후보에게 전달합니다
4.28선언에 1643 명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4.28 산재 노동자의 날
모든 노동자의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할 권리
산재 노동자의
권리 보장을 위한 선언
4월28일 오늘은 산재 노동자의 날이 국가기념일로 제정된 원년이다. 1993년 인형을 훔쳐 갈까봐 굳게 잠근 태국의 공장에서 죽어나간 188명 노동자에 대한 추모와 투쟁으로 전 세계 국가가 산재 노동자의 날을 지정하기 시작한 지 30년만이다.
그러나, 경제 규모 10위, 국민소득 4만 달러를 코 앞에 둔 한국은 여전히 매년 2,400명의 노동자가 일터에서 죽고, 부상과 질병으로 매년 15만 명의 노동자가 고통받는 산재 사망 1위 산재 공화국이다. 떨어져 죽고, 과로로 죽고, 직업성 암, 골병, 고객 갑질, 일터 괴롭힘으로 우리의 일터는 하루하루가 전쟁터이다. 남발되는 산재 불승인, 200일, 300일이 넘는 산재처리기간, 턱없이 낮은 간병 급여, 치료도 재활도 사업장 복귀도 산재 노동자에게는 절망과 고통의 연속일 뿐이다. 더욱이 윤석열 정부는 중대재해처벌법을 개악하고, 산재 노동자를 모욕하며 생명 안전에 대한 후퇴와 개악을 추진했다.
‘죽은 자를 추모하고, 산자를 위해 투쟁하라’는 4.28의 기치로 노동자 시민은 싸우고 또 싸워왔다. 1988년 15살 문송면 노동자의 수은중독 사망부터 2024년 23명의 노동자가 죽어 나간 아리셀 참사까지, 1989년 원진레이온 투쟁부터, 삼성반도체 직업병, 학교급식조리사 폐암까지 지난한 투쟁의 연속이었다. 그리고, 이 투쟁은 생명안전 후퇴 개악에 맞서 윤석열 퇴진 투쟁으로 이어졌다.
2025년 윤석열의 계엄에 탄핵의 철퇴를 내린 노동자 시민의 투쟁은 80년 5월 광주부터 시작된‘죽은 자가 산자를 살리는’ 민주주의 투쟁의 역사였다. 이제 광장의 민주주의는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일터의 민주주의로, 작업중지권과 노동자 참여 보장으로 이어져야 한다. 위험한 작업을 거부하고, 노동자의 눈으로 안전을 감시하는 일터의 안전은 시민 안전의 주춧돌과 최일선의 방패막이 될 것이다.
이에 우리는 21대 대선을 맞아 노동자의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할 권리, 산재노동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1. 모든 노동자의 안전하고 건강할 권리 차별 없이 전면 적용하라
2. 위험작업 중지권과 노동자 참여를 실질적으로 보장하라
3. 중대재해처벌법을 엄정 집행하고, 전면 적용하라
4. 2인1조 등 사고와 과로사 예방을 위한 인력기준 법제화 하라
5. 모든 노동자의 제대로 치료받고 보상받을 권리 전면 적용하라
세계 산재노동자의 날
<세계 산재노동자의 날(International Workers’ Memorial Day)>은 해마다 4월 28일, 세계적으로 작업 중 죽거나 다친 노동자들을 추모하는 날입니다. 1993년 5월, 태국에서는 미국의 유명한 만화 <심슨 가족>의 ‘바트’ 인형을 생산하는 한 인형공장에서 화재가 나 188명의 노동자가 사망했습니다. 인형을 훔쳐가는 것을 막겠다며 공장 문을 밖에서 걸어 잠갔던 것입니다. 1996년 뉴욕, 유엔 지속가능한 발전위원회에 참석 중이던 국제자유노조연맹(ICFTU)이 이들을 추모하며 “선진국 어린이들의 꿈이 담긴 장난감에 개발 도상국 노동자들의 피와 죽음이 묻어있다”고 각성을 촉구한 것을 계기로 4.28을 기념하게 됩니다.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4.28
이 날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한 나라는 캐나다, 태국, 스페인, 대만, 페루, 브라질, 영국. 방글라데시, 미국 등 19개국이었으며, 올해부터 우리 나라가 추가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1988년부터 산재 예방과 직업병 투쟁을 지속적으로 해오면서 4월 28일을 국가기념일로 제정할 것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습니다. 2024년 9월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개정을 통해, 올해부터 산재노동자의 날이 국가기념일이 되었습니다. 다른 나라에 비해 30년 늦은 셈입니다.
일터에서 돌아오지 못한 노동자, 해마다 2,400명
건설현장에서는 떨어져 죽고, 삼성반도체공장에서는 직업병에 걸려 죽고, 학교 급식실에서 폐암에 걸려 죽습니다. 홀로 일하다 컨베이어에 빨려 들어가 죽고, 용광로 쇳물에 떨어져 죽습니다. 2024년 아리셀 배터리 공장 폭발로 스물세명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습니다. 로켓배송에 과로사한 쿠팡 택배노동자를 기억하시나요? 지금껏 476명이 죽어나간 현대중공업 조선소노동자도 있습니다. 기업은 이윤과 노동자의 목숨값을 저울질 하는 산재사망 1위 산재공화국, 바로 한국입니다.
추모를 넘어 산 자를 위해 투쟁하는 4.28
산재 피해를 줄이기 위해, 더 안전하고 건강한 노동을 위해, 민주노총은 작업중지권과 노동자참여가 보장되는 일터 민주주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현장추모행동
일터에서 추모하는
4.28 산재노동자의 날
안전한 일터를 만드는 투쟁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민주노총 조합원들은 이렇게
산재노동자의 날을 기념합니다.
작업중지권쟁취!
노동자 참여로 안전한 일터를!
민주노총
결의대회
• 4.23(수) 오후2시, 서울도심
민주노총 4월 사업
• 4/21~5/2 작업중지권 쟁취 전국 동시다발 집중캠페인
• 4/16 작업중지권 입법 국회토론회
• 4/28 산재노동자 추모 전국동시다발 기자회견
• 4/28~5/1 싸우는 산재노동자 국회 사진전
민주노총 조합원 지침
• 4.28 핀버튼 및 추모리본 달기
• 사업장 현수막 달기
• 포스터&교육지 노조게시판 부착하기, 교육&영상상영
• 안전하게 일할 권리 4.28선언 참여하기
공공운수노조
• 대시민포스터 게시: 철도지하철역사, 지자체, 병원 등 공공기관 (4/10~5/6)
• 철도, 지하철 역사내 방송 및 행선안내기에 산재노동자의 날 문구 표출
• 4.28 오전 10시 차량 등 직업장에서 30초간 추모묵념 및 사이렌
• 여성노동자의 발, 신발이 말하는 노동이야기 공모전&전시회 (4월하순)
화섬식품노조
• 4.28 배출저감제도 화학물질관리법 개정 기자회견
• 5월 한달간 배출저감제도 화학물질관리법 개정 인증샷 공동행동
보건의료노조
• 4·2·8(4대 위험요인, 2대 핵심요구, 8대 실현과제) 보건의료노동자 건강권 쟁취 선언을 위한 조합원 제안운동(3/10~4/4)
건설산업연맹
• 건설현장 안전 현수막 게시
• 4.23 산재사망 건설노동자 추모 위령제
금속노조
• 조합원 추모리본 및 위혐성평가 버튼 달기, 사업장 현수막 부착
서비스연맹
• 전국가전통신서비스노조 : 조합원 차량 및 가방 4.28스티커 붙이기
• 전국택배노조 : 터미널 현수막 부착, 폭염시 노동자 보호조치 요구
•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 학교급식노동자 건강권보장 서명운동
민주노총 부산본부
• 4/22 반얀트리 노동자 산재사망 진상조사 보고서 발표회
• 4/28 부산 최악의 살인기업 선정식
민주노총 경기본부
• 4/28 경기도 최악의 살인기업 선정식
민주노총 경남본부
• 4/22 중대재해처벌법 판결분석 토론회
4/24 경남 최악의 살인기업 선정식
민주노총 대전본부
• 4/28 당일 4시28분 일시 작업중지 후 산재사망노동자 추모 묵상 및 건강한 일터 기원
• 4/29 산재처리 지연 고통 산재노동자 증언대회
• 5/15 산재처리 지연 규탄 및 노동자 건강권 쟁취 결의대회
민주노총 대구본부
• 4/16 작업중지권 쟁취를 위한 기본강연회
모든 지역본부
• 4/28 산재노동자의 날 기자회견
• 작업중지권 쟁취! 집중 선전전 및 산재노동자 사진전 진행
죽은자가 산자를 구한다
90장으로 보는
싸우는 산재노동자 사진전
1988년, 15살 문송면
2024년, 23명 아리셀 노동자
원진레이온 직업병 노동자와
삼성 반도체 황유미
싸우는 산재 노동자가 바꾼 세계